전체 글

초보 개발자의 공부 블로그입니다.
물리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은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한다. 두 계층은 이더넷이라는 공통된 기술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이더넷 이더넷은 현대 LAN, 특히 유선 LAN 환경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두대의 PC끼리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선 가장 먼저 케이블과 같은 통신 매체가 필요하다. 그리고 그 통신 매체를 활용한 송수신 방법이 정해지게 된다.  이더넷은 다양한 통신 매체의 규격들과 송수신되는 프레임의 형태, 프레임을 주고받는 방법 등의 정의된 네트워크 기술이다. 이더넷 표준 오늘날의 유선 LAN 환경은 대부분 이더넷 기반으로 구성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유선 LAN 환경을 구축했다는 말은 물리 계층에서는 이더넷 규격 케이블을 사용하며,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주고 받는 프레임은 이더..
트래픽트래픽은 네트워크 내의 정보량을 의미한다. 트래픽은 주로 노드에서 측정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라우터에 트래픽이 몰린다, 서버의 트래픽을 분산한다. 등의 표현을 사용하게 된다.결국 트래픽은 특점 시점에 노드를 경유하는 정보량을 의미하며, 특정 노드에 트래픽이 몰린다는 것은 해당 노드가 특정 시간 동안 처리해야 할 정보가 많음을 의미한다.이 경우 해당 노드의 과부하(overhead)가 발생한다고 표현한다. 이러한 과부하는 성능의 저하를 발생시키게 된다.네트워크 성능 지표위에서 과부하는 네트워크의 성능을 저하를 발생시킨다고 했다. 네트워크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 가지 대표적인 지표가 있다.처리율, 대역폭, 패킷 손실이다.처리율(throughput - 쓰루풋)처리율은 단위 시간당 네트워크를 통..
PDU(protocol data unit)각 계층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단위를 PDU라고 한다. 즉, 상위 계층에서 전달받은 데이터에 현재 계층의 프로토콜 헤더(및 트레일러)를 추가하면 현재 계층의 PDU가 된다. 현재 계층의 PDU = 상위 계층 데이터 + 현재 계층의 프로토콜 헤더(및 트레일러) 네트워크 참조 모델 별 PDU 정리표OSI 계층 PDUTCP/IP 계층응용 계층데이터(메시지)응용계층표현 계층 ==세션 계층==전송 계층세그먼트(TCP), 데이터그램(UDP)전송계층네트워크 계층 패킷인터넷 계층데이터 링크 계층프레임네트워크 엑세스 계층물리 계층비트= 포함되기도 안되기도 한다. PDU는 주로 전송 계층 이하의 메시지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한다. 전송 계층보다 높은 계층에서는 일반적으로 데이터 혹..
캡슐화와 역캡슐화 패킷은 송신 과정에서는 캡슐화, 수신 과정에서는 역캡슐화가 이루어진다. 캡슐화와 역캡슐화를 이해하려면 우선 메시지 송수신 양상을 잘 이해할 필요가 있다. 네트워크 참조 모델에서 송수신 과정을 살펴 보면, 송신 과정은 메시지가 가장 높은 계층에서 낮은 계층으로 이동하며, 수신 과정은 가장 낮은 계층에서 가장 높은 계층으로 이동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캡슐화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 메시지는 패킷 단위로 송수신된다. 패킷은 헤더와 페이로드, 때로는 트레일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로토콜의 목정과 특징에 따라 헤더의 내용이 달라진다. 어떤 정보(메시지)를 송신한다고 했을 경우, 각 계층에서는 상위 계층에서 내려받은 패킷을 페이로드로 삼아, 프로토콜에 겉맞은 헤더(혹은 트레일러)를 덧붙인 후 하..
네트워크 참조 모델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주고받는 일은 주로 택배에 비유를 많이 한다.(패킷과 택배의 유사성 때문에)  택배를 주고받는 과정을 간단하게 풀어보면 아래와 같다. 선물한 물건을 준비한다. 물건을 택배 상자에 포장한다. 택배상자에 택배 기사가 확인할 정보를 작성에 붙인다. 택배 상자를 택배 기사한테 전달한다. 만약 받는 사람 입장에서 생각한다면 다음과 같다. 택배 기사를 통해 택배를 받는다. 택배에 붙여진 메시지를 제거한다.택배를 개봉한다. 받은 물건을 확인한다. 이 과정을 통해 알 수 있는 점은 택배 송수신과정은 서로 반대의 과정으로 이루워져있고 정형화된 순서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표현은 아래 그림과 같은 계층적 구조로 표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도 마찬가지이다. 네트워크도 정보를 주고..
프로토콜 현대 인터넷의 정보 전달 방식은 대부분 패킷 교환 방식을 의미한다.  패킷교환방식은 아래 포스팅에서 확인 바란다. 2024.05.10 - [Knowledge/네트워크] - [네트워크] 회선 교환 방식과 패킷 교환 방식 [네크워크] 회선 교환 방식과 패킷 교환 방식메시지 교환 방식에 따른 네트워크 분류 호스트들을 서로 정보를 교환한다. 그럼 어떤 방식을 통해 메시지를 교환할까? 네트워크로 메시지를 교환하는 방식은 대표적으로 회선 교환 방식과 패jh7722.tistory.com 패킷교환방식은 말 그대로 패킷을 주고 받는 개념이다. 여기서 패킷은 소포, 택배와 유사한 개념을 가진다.패킷택배페이로드(payload)물품헤더(header), 트레일러(trailer) - 부가정보 또는 제어정보택배 송장 택배..
주소와 송수신지 유형에 따른 전송 방식 패킷의 헤더에 담기는 대표적인 정보로는 주소가 있다. 주소(Address)는 송수신지를 특정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그렇기 때문에 패킷에는 항상 송수신지의 대한 정보가 담겨져 있다. 이러한 주소는 주로 IP 혹은 MAC 이라고 표기하며 모두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주소표현들이다.  송수신지를 특정할 수 있게 된다면 송수신지 유형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메시지를 보낼 수 있게 된다. 가령 수신지를 호스트 하나로 지정할 수 있고, 네트워크 내 모든 호스트, 그룹 내 호스트 등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으로 분류되는 방식을 총 세가지로 분류가 가능하다.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이다.  유니캐스트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송수신 방식이다. 하나의 수신지에 메시..
메시지 교환 방식에 따른 네트워크 분류 호스트들을 서로 정보를 교환한다. 그럼 어떤 방식을 통해 메시지를 교환할까? 네트워크로 메시지를 교환하는 방식은 대표적으로 회선 교환 방식과 패킷 교환 방식이 있다.  각 방식을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회선 교환 네트워크, 패킷 교환 네트워크라고 한다. 회선 교환 방식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 방식은 먼저 메서지 전송로인 회선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메시지를 주고받는 방식이다. 회선 교환 네트워크에서는 호스트들이 메시지를 주고받기 전에 두 호스트를 연결한 후, 연결된 경로로 메시지를 주고받는다. 위 그림을 예로 들면 A와 B가 통신한다면, 메시지를 주고 받고 전 A와 B사이를 연결하는 회선(붉은 선)을 설정한 후 메시지를 주고받는 것을 의미한다.  회..
JH_DEV77
JH’s 개발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