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토링 4주차프로세스와 스레드자바 버전 별 스레드의 종류동기와 비동기, 블로킹과 논 블로킹동기화스레드 생명주기스레드 풀데드락 start와 run 메소드의 차이점 임계영역, 락리플랙션 io, nio 자바 주차가 끝이 났다. 다음 주부터 3주정도 스프링이 시작된다. 토비의 스프링 1권을 기반으로 진행되며, 자바와 동일하게 학습 시 키워드를 유추하고, 그 기간으로 깊이 있는 학습을 진행하라고 하셨다. 스프링 2주차때부터는 프로젝트 가이드가 나오고 프로젝트도 같이 진행하기 때문에 어느정도 주제를 생각해놔야한다. 스프링이 끝나는 JPA 관련 2주정도 진행하면, 어느정도 기술 면접 가이드를 끝나기 때문에 이력서 첨삭 및 지원을 시작할 예정이다.
멘토링 내용두번째 멘토링을 진행하였다. 두번째 시간도 자바의 신을 학습 후 해당 키워드에 대한 내용을 문답형태로 진행하였다. 자바의 신 1권 기준 11장부터 전체 내용을 다뤘고 내가 준비한 답변 리스트를 먼저 질문하고 멘토링이 답변을 듣고 꼬리질문 형식으로 진행이 되었다. 다음과 같은 키워드로 진행하였으며, 1주차에서 찾아보라고 해주신 내용과 자바의 신 전반에 내용이 키워드화하여 폭 넓게 진행되었다.객체, 인스턴스, 클래스객체지향 프로그래밍자바 7버전과 8버전의 메모리 구조 변화GC불변객체String, StringBuilder, StringBufferJava 컴파일 과정동일성과 동일성equals()와 hashCode() 이번주에 경우 내가 이력서를 늦게 전달해줘서, 이력서에 대한 내용은 다음 주에 진행..
멘토링 회고F-lab 멘토링의 경우 1시간정도 진행이 된다. 첫 번째 멘토링이었므로 각자 소개 후 내 상황에 대한 분석으로 시작하였다. 나의 상황 SI/SM 회사에서 3~4년 정도 일한 후 이직을 위해 퇴직하였다. 퇴직 사유는 전 회사가 주로 소규모의 프로젝트 위주로 진행하고 많은 고객을 상대로 오픈되는 사이트가 아니다보니 많은 트래픽을 대처하는 경험을 하기가 어려웠다. 그리고 항상 비슷한 프로젝트를 개발하여 한정된 기술스펙에 대해 한계가 느껴서 더 다양한 경험을 통한 성장을 위해 나오게 되었다. 이직 준비는 1년 반에서 2년 가끼이 진행하고 있으며, 너무 길어지는 상황에 답답함을 느껴 F-lab 멘토링을 신청하게 되었다.상황을 공유하고, 멘토링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되었다. 나같은 경우는 사실 시장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