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U(protocol data unit)
각 계층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단위를 PDU라고 한다. 즉, 상위 계층에서 전달받은 데이터에 현재 계층의 프로토콜 헤더(및 트레일러)를 추가하면 현재 계층의 PDU가 된다.
현재 계층의 PDU = 상위 계층 데이터 + 현재 계층의 프로토콜 헤더(및 트레일러)
네트워크 참조 모델 별 PDU 정리표
OSI 계층 | PDU | TCP/IP 계층 |
응용 계층 | 데이터(메시지) | 응용계층 |
표현 계층 | = | = |
세션 계층 | = | = |
전송 계층 | 세그먼트(TCP), 데이터그램(UDP) | 전송계층 |
네트워크 계층 | 패킷 | 인터넷 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 프레임 | 네트워크 엑세스 계층 |
물리 계층 | 비트 | = 포함되기도 안되기도 한다. |
PDU는 주로 전송 계층 이하의 메시지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한다. 전송 계층보다 높은 계층에서는 일반적으로 데이터 혹은 메시지로만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전송 계층의 PDU는 TCP 프로토콜 일 경우 세그먼트, UDP 프로토콜 일 경우 데이터그램이 사용된다.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되는 패킷은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용어와 동일한 의미는 아니다.
패킷 용어 정리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 패킷은 쪼개져서 전송되는 단위를 통칭하며, PDU에서의 패킷은 네트워크 계층에서의 송수긴 단위를 지칭한다.
그러므로 모든 계층에 전달되는 데이터가 쪼개져서 전달되는 `패킷`(=패킷 교환 네트워크)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각 계층을 세분화 하여 부를 때는 PDU에 따라 부른다. (네트워크 계층의 PDU = 패킷)
아래 그림은 계층 별 PDU를 나타낸다.
참고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 예스24
혼자 해도 충분하다!1:1 과외하듯 배우는 네트워크 자습서『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는 개발자의 필수 지식인 네트워크를 기본부터 제대로 학습할 수 있도록 돕는 입문서이다. 다수의 네트워
www.yes24.com
'Knowledge > 개발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지식]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0) | 2024.05.01 |
---|---|
[개발지식]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의 차이 with JPA (0) | 2024.03.11 |
[스진초 5기/개발지식] DDD 설계와 SQL 중심 설계 (1) | 2023.11.10 |
[개발지식] 빌드관리도구와 Maven과 Gradle (0) | 2023.10.13 |
[개발지식] 빌드와 컴파일 (0) | 2023.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