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Bean이란?Spring Bean은 스프링 컨테이너가 생성 및 관리하는 자바 객체를 의미한다. 즉, 객체의 생성, 초기화, 소멸등의 생명주기를 컨테이너가 담당하여 객체 간 결합도를 낮추고, 재사용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 스프링 빈(Bean)의 등록 방법스프링 빈 등록 방법은 크게 3가지 방법이 존재한다. xml에 직접 등록@Bean 어노테이션을 이용@Component,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어노테이션을 이용 1. XML 설정을 이용한 방식 (옛날 방식, 잘 안 쓴다.)`applicationContext.xml` 같은 XML 파일을 사용하여 직접 빈을 등록하는 방법이다. 스프링 3 이전에 많이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어노테이션 기반 설정이 주로 ..
2023.11.08 - [Framework/Spring] - [스진초5기/Spring] DTO, VO, Entity [스진초5기/Spring] DTO, VO, Entity 스프링 MVC 기반 프로젝트를 하다 보면 DTO, VO, Entity 객체를 만들어서 사용한다. 각 클래스의 멤버변수들이 비슷한 값으로 지정되기 때문에 혼용하여 많이 사용하게 된다. 특히 DTO와 VO는 동일한 jh7722.tistory.com 이전 포스팅에서 DTO, Entity, VO과 각각 어떤 역할을 수행하고 어떤 차이를 있는지 정리했다. 각 역할에 따라 DTO와 Entity는 특정 순간에 변환돼서 사용되어야 한다. 이런 변환작업은 어느 계층에서 처리해 주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일까? DTO, Entity 변환은 어느 계층에서 일..
2023.10.05 - [Framework/Spring] - [Spring] 레이어드 아키텍처와 스프링의 레이어드 아키텍처 [Spring] 레이어드 아키텍처와 스프링의 레이어드 아키텍처 [스프링부트 핵심 가이드] 책을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레이어드 아키텍처란 애플리케이션의 컴포넌트를 유사 관심사를 기준으로 레이어로 묶어 수평적으로 구성한 구조를 의미한다. 레 jh7722.tistory.com 스프링의 레이어드 아키텍처를 정리한 적이 있는데 이번에는 각 영역에서 중요역할을 담당하는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Controller 컨트롤러는 스프링 레이어드 아키택쳐 중 프레젠테이션 레이어의 포함되어 있다. 클라이언트 요청이 서버 측에 전달될 때 가..